전통주만들기(도구및재료)
전통주 제조에 필요한 기본적인 도구는 발효조(플라스틱통, 유리병, 항아리), 누룩(재래, 개량), 효모 등이 필요하며 그외에 광목천, 거름망등이 필요합니다. 기본도구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 있습니다. |
![]() |
|
![]() |
|
전통주만들기(쌀.누룩.효모.물의비율)
단양주 - 1번에 술빚기 |
- 재래누룩의 사용량 : 쌀의 약 10%정도. - 개량누룩의 사용량 : 쌀의 약 2 ~ 3% 정도 (재래누룩보다 4배 정도 당화력이 강하기때문) - 물의 사용량 : 쌀의 약 1.5배 (약 16% 근처의 알코올이 만들어집니다) - 재래누룩의 경우 효모를 사용하지 않으셔도 술을 만들 수 있으나 안전한 양조를 위해 넣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쌀 (kg ) |
재래누룩 (쌀의 10%~15%, g) |
개량누룩 (재래누룩의 약1/4, g) |
물
(쌀:물=1:1.5, L) | ||
누룩 |
효모 |
누룩 |
효모 | ||
1 |
100 |
3 |
20 |
8 |
1.5 |
2 |
200 |
6 |
40 |
16 |
3 |
3 |
300 |
9 |
60 |
24 |
4.5 |
4 |
400 |
12 |
80 |
32 |
6 |
5 |
500 |
15 |
100 |
40 |
7.5 |
6 |
600 |
18 |
120 |
48 |
9 |
7 |
700 |
21 |
140 |
56 |
10.5 |
이양주 - 2번에 술빚기(밑술, 덧술) |
- 밑술에 사용하는 쌀의 양 : 전체 만들 쌀의 양의 8% 정도. - 효모는 밑술 제조시에만 첨가하고 덧술에서는 고두밥과 물만 첨가합니다. |
전체 쌀
(kg ) |
밑술 |
덧술 | |||||||
쌀(g) |
누룩(g) |
효모(g) |
물(ml) |
쌀(g) |
누룩 |
물 | |||
개량 |
재래 |
개량 |
재래 | ||||||
2 |
160 |
20 |
20 |
2 |
240 |
1840 |
32 |
180 |
2800 |
3 |
240 |
12 |
30 |
2 |
360 |
2760 |
40 |
280 |
4200 |
4 |
320 |
15 |
40 |
3 |
480 |
3680 |
56 |
360 |
5600 |
5 |
400 |
10 |
60 |
4 |
600 |
4600 |
90 |
440 |
7000 |
6 |
480 |
21 |
80 |
5 |
750 |
5520 |
110 |
520 |
8500 |
전통주 만들기(누룩 만들기)
|
전통주 만들기
전통주를 만들기에 앞서 참고하시면 만들기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
[차례] - 누룩 과 효모의 정의, 종류, 보관 및 사용법 - 물은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 ? - 소독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 - 쌀의 양에 따른 가능한 용기의 용량은? - 발효온도, 기간 및 발효가 끝나는 시점 확인방법 - 막걸리, 동동주 및 약주의 차이점 - 단양주 와 이양주란 ? |
![]() |
술은 찹쌀, 멥쌀, 보리, 밀, 옥수수, 조등을 이용해서 만드는데 술이 만들어지려면 이와같은 재료의 전분질을 발효가 가능한 포도당으로 변환시켜야 하는데 그 역할을 하는 것이 누룩입니다. 재래누룩의 경우에는 곰팡이와 효모가 자연적으로 배양되어 따로 효모를 첨가하지 않아도 누룩에 의한 포도당으로 당화와 효모에 의한 발효가 진행됩니다. 그러나 개량누룩은 제품에 동봉되어 있는 효모를 넣어주셔야 발효가 진행되면 재래누룩의 경우에도 안전한 양조를 위해 효모를 넣어주고 있습니다. |
![]() |
예로부터 물맛이 술맛을 좌우한다고 하였습니다. |
![]() |
|
![]() |
주어진 용량의 용기에 최대한 만들수 있는 술의 양은 얼마나 될까요. |
![]() |
발효온도는 약 25℃ 근처면 적당합니다. |
![]() |
전통주라 하면 흔히 접하는 단어가 막걸리, 동동주, 약주입니다. |
![]() |
전통주는 술을 빚는 횟수에 따라 분류를 하기도 합니다. |
'양생 > 우리술과 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익는 마을에 상동주(酒) 냄새가 "솔~솔~" (0) | 2011.01.26 |
---|---|
[스크랩] 술 익는 마을 가을 향기도 솔솔 (0) | 2011.01.26 |
시대별 도량형제도의 발전 (0) | 2010.11.15 |
도량형 통일과 미터법의 도입 (0) | 2010.11.15 |
도량형(上) (0) | 201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