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생/약초와 효소

방기황기탕

비오동 2011. 4. 24. 10:34

방기황기탕(防己黃耆湯) 통풍| ┃한 방 처 방┃

김학용 조회 31 |추천 0 | 2011.03.21. 22:46

 

통풍(痛風)은 요산이 체내에 축적되어 생기는 병으로 관절의 연골,힘줄, 주위조직에 날카로운 형태의 요산결정이 침착되어 조직들의 염증반응을 촉발하며 해당 관절 부위가 붓고, 발적되며 열나고 후끈거리며 근육이 경직되고 빨갛게 변한다.

환부 표면의 피부 표피층이 벗겨지기도 하며 찌르는듯한 극심한 고통을 수반하고 특히 밤이나 새벽에 증상이 잘 나타나며 통증은 더욱 심해진다.

급성 통풍 발작의 경우 증상 기간이 짧으면 일주일에서 심하면 길면 한달정도 지속되며 증상이 있을 때에는 일상생활에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남자의 엄지 발가락에서 제일 흔히 발병하지만 다른부위(팔,다리 모든 관절)에도 생기고 여자도 걸릴 수 있는데 고요산증을 오래 앓는환자들은 tophi라 불리는 요산 결정체가 귓바퀴 등에 생길 수 있으며 혈액 속에 요산수치가 장기간 높게 올라가면 콩팥, 방광, 각 관절에 침착되고 신장에는 요산결석이 생길 수 있다.

비만형으로 피부가 하얗고 근육이 무르며 피로하기 쉽고 땀이 많으며 소변불리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사용하는 처방이다.

효능; 固表實脾,利水除濕,補氣健脾,祛風止痛.

적응증; 신염, 네프로제, 음낭수종, 비만증, 관절염,류머티스, 변형성슬관절염, 신경통, 근염, 옹종, 부종, 다한증, 생리불순.

처방

방기,황기 각 5g,백출,대조 각3g,감초(1.5g),건강(1g).

이상 18.5g을 한첩으로 달여 복용한다.

방기황기탕 防己黃耆湯

거습제 (祛除風濕)

방기(防己) 8.0 / 감초(甘草) 4.0 / 백출(白朮) 6.0 / 황기(黃耆) 9.0 / 생강(生畺) 6.0 / 대추(大棗) 6.0

出典

금궤요략

處方解說

1. 세포에 영양이 부족하여 간질(間質)에 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수분이 피부로 많이 배설되거나, 2. 신장기능이 약해서 신장으로 배설되어야 할 불순물이 신장으로 배설되지 못하고 피부로 배설되어 땀이 쉴새 없이 나고, 땀이 많이 나니까 체열이 빠져나가서 추위를 많이 타고, 저항력이 약해져서 각종 염증에 잘 이환될 때 ;

* 세포에 영양공급을 증진하고,

* 피부의 장력(張力)을 강화하고,

*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한출(汗出)을 억제하므로 써 면역능을 증강시키고, 체열(體熱)의 발산을 완화한다.

*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방기, 황기, 백출은 혈관을 확장하여 지한(止汗)작용을 한다.

2. 황기, 대추, 감초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도한(盜汗)을 억제한다.

3. 백출은 땀으로 배설될 수독을 신장으로 배설하고, 모공의 장력(張力)을 강화하여 지한(止汗)작용을 한다.

4. 백출, 황기는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이뇨를 증진한다.

5. 감초는 심장박출량을 강화하여 세포에 영양공급을 원활히 한다.

本草의 藥理 作用

방 기

① Tetrandrine이 비만세포로부터 유리된 히스타민 물질과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항Anaphylaxy, 항알러지작용이 있으며 관절류마티, 관절염에 소염작용을 한다.

② 근육을 이완한다.

③ 신장의 이뇨능력을 증진하여 피하(皮下)조직에 정체된 수분을 신장으로 배설한다.

④ 혈관운동 중추와 교감 신경흥분을 억제하고 혈관을 직접 확장하여 지한(止汗)작용을 한다.

⑤ 혈압을 하강하는 강압(强壓)작용이 있다.

⑥ 진통작용이 강하다.

황 기

① Lonoleic acid가 고Cholesterol혈증을 경감시킨다.

② Folic acid, Amino acid, Glucose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세포가 필요한 각종 영양을 공급하여 영양불량증으로 인한 허약체질을 개선하고 간질액(間質液)의 피부외(皮膚外)배설을 억제한다.

③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이뇨를 증진하여 피부배설을 억제한다.

④ 신염의 발생을 억제하고 단백뇨 생성을 경감시킨다.

⑤ 혈관확장작용을 하여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영양공급을 원활히 하므로 써 각종마비, 관절의 병변을 개선하며 지한(止汗)작용을 한다.

⑥ 면역능 증강작용을 하여 만성염증증상과 피부말단의 염증을 개선하여 궤양치료 효과가 우수한데 만약 급성염증에 사용하면 항체가 과잉 증강되어 알러지가 유발된다.

⑦ 다당체는 골수조혈세포의 DNA합성을 촉진하고 인체의 단백합성을 증가한다.

⑧ 간손상을 보호한다.

⑨ 항노화작용이 있다.

⑩ 용혈성연쇄구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

백 출

① ß-Eudesmol과 Hinesol이 중추신경 흥분을 억제하여 진정작용을 한다.

② 소화액 분비능을 항진하여 소화, 흡수를 촉진하고 위내강에 정체된 수독의 배출을 증진시킨다.

③ ß-Eudesmol은 H2 Receptor와 길항하고 Hinesol은 과도한 위산분비를 억제한다.

④ Vitamin A, D가 함유되어 있어 자양작용이 있으며 피부, 점막을 윤택하게 한다.

⑤ 피부탄력 세포의 장력을 강화하고 모공을 수렴하여 지한작용을 한다.

⑥ 세뇨관 재흡수를 억제하여 이뇨작용을 하므로 써 저혈압이나 혈관운동 부족에 의한 부종을 경감한다.

⑦ 자궁평활근 경련을 억제하고 탄력을 강화하여 유산을 방지한다.

⑧ 혈당강하작용이 있다.

⑨ 강장(强壯)작용이 있고 인체의 항병력(抗病力)을 높인다.

⑩ 혈관을 확장하는 작용이 있다.

⑪ 혈소판응고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⑫ 항종양작용이 있다.

생 강

① Zingerol은 말초혈류를 촉진하여 혈액순환을 증진한다.

② 진경작용도 한다.

대 추

① Calcium, Vitamin C, 단백질, 지방 등을 함유하고 있어 모든 세포와 뇌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진정작용과 지한(止汗)작용을 하며 보혈, 강장작용을 한다.

② 진경작용이 있어서 관절류마티에 사용한다.

③ Cyclic AMP를 증량시켜 비만세포막을 강화하므로 항알러지약으로 사용된다.

④ 이뇨를 증진한다.

감 초

① Macrophage 탐식능을 활성화하고 면역기억세포의 생성을 촉진한다.

② 심근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심장의 기외수축을 완화하여 심장운동능을 정상화한다.

③ 장관평활근 경련을 억제한다.

④ Glycyrrhizin은

- 항알러지작용, NK세포 활성화작용, 인테페론 유리작용을 한다.

- 위산분비를 억제하고, 위점막을 보호하는 항궤양작용을 하며,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⑤ Glycyrrhetic acid은

- 스테로이드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하여 항염증작용을 한다.

- Phospholipase A2 활성을 억제하고 Prostaglandin생성을 저해하여 진통작용을 한다. 또 기관지평활근경련을 억제하여 진해작용을 한다.

- 진해(鎭咳)작용, 진정작용 및 해독작용을 한다.

⑥ Glycyrrhetic acid와 Glycyrrhizin이 항염작용, 항알러지작용, 해열작용을 한다.

⑦ LH-1이 면역세포를 활성화한다.

⑧ 위장평활근경련을 억제한다.

⑨ 간손상을 억제한다.

⑩ 인후점막의 자극을 완화한다.

⑪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한다.

⑫ 항바이러스작용이 있으며 황색포도상구균, 결핵간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

⑬ 항종양작용이 있다.

投 藥

1. 물살, 두부살이라고 불리는 물렁살 체질자로 써 땀을 많이 흘리고 피로를 잘 느낀다.

2. 신장기능이 약하여 소변의 량은 적고, 정상수분이 피부로 과다 배출되므로 피하에 진액이 몰려서 부종을 나타낸다.

3. 주로 몸의 상부는 땀이 많이 나고 하부는 부종이 있다.

4. 부종으로 몸을 굴신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

應 用

1. 평소에 땀을 많이 흘리는 체질자가 관절류머티로 관절이 많이 부었을 때.

2. 상처난 곳에 진물이 물처럼 자꾸 나오면서 육아 형성이 잘 되지 않을 때.

3. 신염, 네프로제 등에 하지(下肢)는 붓고 온 몸에 땀이 많을 때.

4. 음낭수종의 환자가 평소에 두한(頭汗)이나 전신한출(全身汗出)이 심할 때.

5. 습진, 피부병.

6. 액취(腋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