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열전대 온도계를 사용하여 죽염로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험입니다. | |||||||||||||||||||||||||||||||||||||||||||||||
![]() |
좌측의 열전대 온도계는 1700℃까지 측정할 수 있는 백금센서로 구성된 R타입의 온도계입니다. | ||||||||||||||||||||||||||||||||||||||||||||||
온도계는 반드시 세라믹으로 감싸여진 1500℃이상 측정할 수 있는 열전대 온도계를 사용해야 하며, 1200℃까지 측정하는 타입의 온도계를 사용하면 1200℃ 이상 증가하였을 때 그 오차범위가 상당히 크므로 정확한 수치가 나올 수 없습니다. | |||||||||||||||||||||||||||||||||||||||||||||||
![]() |
좌측은 온도계 인디게이터(Indicator) 입니다. 삼정죽염을 용융시킬 때 온도를 찍은 것입니다. 열전대 온도계를 꽂는 위치는 바닥에서 47cm 위에 위치하고, 5cm의 깊이로 삽입하였으며, 측면과 정면에서 실험 하였는데 불이 들어가는 맞은 편(정면) 부위에서 나타난 온도가 조금 높은 편입니다. | ||||||||||||||||||||||||||||||||||||||||||||||
산소를 사용하거나 강한 압력을 이용한 벤츄리 튜브의 사용 등 공학적인 발전없이 일반 송풍기와 송진을 이용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도표는 STS(스테인레스스틸) 304, 316 이 죽염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테인레스스틸의 용융점과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정확한 데이터를 위해 INI철강의 연구소와 POSCO의 답변을 참조하였습니다. | |||||||||||||||||||||||||||||||||||||||||||||||
| |||||||||||||||||||||||||||||||||||||||||||||||
POSCO에서 보내온 보다 자세한 용융범위는 303 STS (1399℃ ~ 1421℃), 304 STS (1399℃ ~ 1454℃), STS 316 (1371℃ ~ 1399℃)으로 답변을 보내왔습니다. ★ 용융점 : 고체가 액체로 변화하는 온도점을 말합니다. 소금의 주 성분은 NaCl 인데 용융점은 800℃입니다. 소금속에 포함된 각종 미네랄의 용융온도도 대부분 이 범위 내에 들어갑니다. |
'양생 > 죽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참조기..(18편,돌아오라 내품으로..) (0) | 2010.09.08 |
---|---|
천일염 (0) | 2010.08.16 |
호골영토산방(湖骨嶺土山房) (0) | 2010.08.03 |
[국산천일염 세계명품화] (0) | 2010.08.02 |
시중 유통 죽염제품 10개서 쇳가루 검출 (0) | 2010.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