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계지가출부탕

비오동 2011. 8. 21. 00:11

계지가출부탕

<처방구성>

계지 작약 생강 대조 각 6.0 감초 4.0 부자 2.0 백출 8.0

계지가부자탕에 백출을 가한 처방입니다.

백출 : 甘苦溫<감고온>,治風寒濕痺<치풍한습비>,

    燥濕<조습>,止泄瀉<지설사>
    위내정수를 제거하여 소변불리,소변자리,부종,설사,冒眩<모현>,
    四肢沈重痛<사지침중통>,骨節疼痛<골절동통>,
    嘔<구>,渴<갈>을 치료합니다.
    백출과 부자가 협동하여 조직의 수분대사장애를 제거합니다.

    <目標>

    계지가부자탕증이 있으면서 胃內停水<위내정수>가 있는자를
    목표로 합니다.

    <條文>

    濕家 骨節疼痛者 或半身不遂 口眼喎斜 或身體麻痺者 或頭痛劇者
    桂枝加朮附湯主之

    <해설 및 응용>

    본래 몸에 습이 있는자가 골절동통하거나 혹은 반신불수,
    구안괘사가 있는자,혹 신체마비자,혹 두통이 극심한자는
    계지가출부탕으로 치료한다고 되어있습니다.

    기혈이 虛<허>하고 허약체질로서 수족이 냉하면서 추위도
    많이 느끼는자로서 습이 많은자<자주 붓거나 날굳이가 잦다,신중>의
    아래 증상들을 치료합니다.
    대개 통증이나 마비감은 뻣뻣하게 땡기는 증상과 같이 나타납니다.

    1> 疼痛<동통>과 마비 : 신경통,관절통,오십견, 두통,頭重感<두중감>
    뇌출혈후의 반신불수,마비를 일으키는 중추신경질환

    2> 피부질환 : 궤양,중이염,축농증,치루 등으로 묽은 농이나
    분비물이 비교적 많이 나오고 좀체로 새살이 차올라오지 않고
    오랫동안 낫지 않는자에게 사용합니다.


    계지가영출부탕

    <처방구성>

    계지 작약 생강 대조 각 6.0 감초 4.0 부자 2.0 복령 백출 각 8.0

    계지가출부탕에 복령이 더해진 처방입니다.
    또는 계지가부자탕에 복령,백출을 가한 처방입니다.

    복령 : 甘淡平<감담평>,益脾<익비>,除濕<제습>,
    補心<보심>,行水<행수>
    위내정수를 利水<이수>합니다.
    백출은 정지상태의 수분에 복령은 動的<동적>
    수분에 작용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정지성일때는 부종,근육통,관절통 등을 일으키고
    동적상태의 수분은 상충해서
    眩<현>,心悸<심계>,肉瞤<육순> 등을 일으킵니다.

    <目標>

    계지가부자탕증이 있으면서 위내정수의 상충으로 인한
    증상이 곁들여진 경우에 사용합니다.
    즉 심계, 眩<현>,身瞤動<신순동>하는 경우

    <解說 및 應用>

    계지가영출부탕은 처방구성으로 보았을때 여러 가지의 처방의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즉 계지탕,진무탕,영계출감탕 뜻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계지탕은 허약자의 맥부약,한출경향,표증을 치료합니다.
    진무탕은 웨내정수가 있으면서 부자증이 있는자의 현,심계,
    身瞤動,복통,하리 등을 치료해줍니다.
    영계출감탕은 위내정수의 상충에의한 심계,현 등을 치료해줍니다.

    따라서 계지가영출부탕은 기혈이 虛<허>하고 허약체질로서
    수족이 냉하면서 추위도 많이 느끼는자로서 위내정수를
    목표로하여 신체통,관절통,부종,마비감,
    두통,소변불리,현,심계,身瞤動<신순동>, 복통,하리 등에 응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