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00만원에서 2,000만원까지 합니다.
이 역시 너무 황당한 답변이겠죠?^^
학교에 있으면 자주 받는 질문인데 일판에서 집짓다 들어 온 저로선 솔직하게 답하자면 이렇게 밖에 말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그렇게 시공을 했으니...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경남 함양에 3량집으로 간단하게 지은 집이 있었는데 건축주가 천연염색하는 젊은 동생이라 저희 식구들이 일판 이동 중 짬을 내어 엔진톱으로 대강 치목해서 집짜주고 빠진 집인데( 이런 집을 우린 '엔진톱벌' 집이라 하지요. 옛날에 도끼나 자귀로 지은 집을 '도끼벌', '자귀벌' 했듯이요^^ ) 나중에 물어보니 평당 220만원 정도 들었다 하구요.
제가 학교 오기 직전 경기도 남양주 팔당댐 상류에 지은 J일보사 H회장 별서를 지었는데(약 19평 정도) 아마 평당 2,000만원을 넘었을 겝니다.
소나무 중에 으뜸으로 치는 금강송( 춘양목 )을 구해다( 아예 봉화군 춘양면에 있는 古家를 사서 나무를 뜯어 옴 ) 쓸만한 부재를 골라 지었는데 좋다는 기법, 재료는 총동원 했지요...
보통 절집에서 보이는 대웅전 건물은 평당 2,000만원 이상이고 나머지 요사채 건물(보통 익공식으로 지음)은 약 7~800만원 정도, 재실은 1,000만원 정도 듭니다.
살림집은 줄잡아 약 500~700만원 선 입니다.
물론 한옥이 워낙 변수가 많은 집이다 보니 편차가 많이 나지요.
예를 들면 나무를 얼마나 쓰느냐? 수입목이냐, 국산 수종이냐? 벽 처리를 어떻게 하느냐? 창호를 어떤 식으로 넣느냐? 내부 마감을 어떻게 하느냐? 등등
제가 보기에 가장 큰 변수는 건축주의 욕심인 것 같습니다.
집을 처음 짓기 시작할 때는 계획을 용의주도하게 세워서 시작하는데 차츰 집모양이 드러나면서 자꾸 욕심을 부리더라구요.
계획에 없던 누마루를 들이고 싶다, 문짝을 기성문으로 계획했다가 전통 한옥식으로 가고싶다, 씽크대도 목재로 된 걸로 하고 싶다, 지붕재를 전통 기와로 올리면 안되겠느냐...
집은 처음 계획대로 지어야지 지으면서 이런저런 변경을 가하며 짓다보면 다 지어졌을 때 아주 우스꽝스런 집이 되어 버리고 맙니다.
한복 차림에 중절모쓰고 넥타이 맨 모양처럼요...
이제 양옥과의 건축비를 비교해 봅시다.
양옥 건축( 보통 콘크리트 슬라브 집 )의 평당 건축비가 300만원 대 인걸로 압니다( 아닌가요?^^ )
그리고 얼마 전 까지 유행한 통나무 집( 캐나다식 집입니다 )이 역시 그 정도 듭니다.
한옥이 나무가 많이 들어가고 일의 마무리를 전부 사람 손으로 해야 하다보니 인건비가 많이 들지요.
하지만 쓰이는 재료가 나무와 흙, 돌로 천연재료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건축 폐기물은 없습니다.
실제로 오래 된 고가를 뜯어 보면 전깃줄이나 플라스틱 배관 정도만 걷어내면 전부 그냥 땅에 깔아버려도 아무런 공해 문제가 없습니다.
제가 이 일 하기전에 토목을 했었는데 콘크리트 구조의 수명을 약 100년 정도로 봅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죠?
아파트가 많으면 30년 정도면 재건축에 들어가고, 양옥식으로 지은 주택도 50년 정도면 허물어 집니다.
이에 비하여 한옥은 어떨까요?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목조건물 중 가장 오래 된 집이 안동에 있는 봉정사 극락전인데 건축연대를 1,200년대로 추정합니다.
700년이 훌쩍 넘었지요.
그 외에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을 위시한 많은 목조 건물이 500년을 훨씬 넘었습니다.
살림집 역시 2~300년 정도 된 집을 쉬 볼 수 있지요.
문제는 우리가 한옥 건축비가 비싸다고 하는 異面엔 집을 거주 개념으로 보는 게 아니라 투자 개념으로 접근하는 시각차에 기인한다고 봅니다.
몇 년 살다 팔면 얼마가 남고, 입지조건에 따라 집값이 얼마나 뛸 것이냐 하는 시각...
물론 인간이 경제활동을 하는 동물이다 보니 금전적인 면을 무시할 순 없지만 한옥은 투자적인 시각보다 후손들에게 대를 물리며 살아갈, 거주의 시각으로 다가서야 제대로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콘크리트 건물의 시멘트에서 품어나오는 여러가지 화학 물질들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아토피성 피부염, 새집 증후군, 크롬이나 비소로 처리된 CCA방부목의 폐해, 바닥이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공약품의 유독성... )가 사방 10리 안에서 집지을 재료를 구해 지은 우리네 한옥에선 찾아 볼 수 없다는게 한옥의 큰 장점이라 봅니다.
물론 한옥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은 것 또한 사실입니다.
아코, 학교 올라 갈 시간입니다.
나머진 다음에 쓰지요.
日進月就 如意常樂~~^^()*
'양생 > 집, 몸, 자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공을 맡길 것인가? 직영을 할 것인가? (0) | 2010.05.10 |
---|---|
한옥 건축비 내역 (0) | 2010.05.10 |
한옥건축비 산출시 참고사항 (0) | 2010.05.10 |
한옥 건축비 (0) | 2010.05.10 |
한옥 구경 (0) | 201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