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생/약초와 효소
[스크랩] 증상, 질환별 민간요법 및 간편처방-바
비오동
2011. 4. 19. 13:50
【바】 증상, 질환별 민간요법 및 간편처방 |
(※ 출처: 동의보감, 약재 뒤 g수는 1일분 달임량/ 약재 뒤 숫자는 비율/ 가루 및 환약 뒤 숫자는 1회 복용량임; 달임량 및 복용량은 체구가 적고 내성이 약한 옛날사람 기준이므로 제시량보다 다소(30% 정도) 높게 잡아야 함) 1) 발목을 삐었을 때: ① 대황, 치자 각 50g을 넣고 물 두 대접을 붓고 끓여서 밀가루로 반죽한 뒤 붕대에 펴서 발라 붙인다. 2) 밤눈 어두울 때 ⇒ 야맹증 3) 방광암: ① 용아초(15g) ② 패장근(10g) 4) 방광염: ① 싸리나무(60g)+차전자(20g)를 달여 설탕가루를 타서 식전에 하루 2회 ② 부평초가루(5g) ③ 구맥(15g) ④ 호장근(6g) ⑤ 지부자(10g) ⑥ 화고초(20g) ⑦ 유근피가루(5g) ⑧ 일엽초(10g)+차전자(4g) 5) 배에 가스가 찰 때: ① 곶감(3개)+맥아(5g)+감초(3g)+육계(4g)+생강(3쪽) 하루 5~6회 10일 이상 복용 6) 백내장: ① 목향(청목향, 4g)+황금(4g)+황련(4g) 5~6개월 장복 ② 익모초씨(6g) 7) 백반병: ① 보골지(12g) 달여 졸여서 바르고 자외선을 쪼인다. ② 새삼씨를 태워 가루 내어 참기름에 갠 후 백반부위에 바른다. 8) 백일해(백날 기침): ① 진피(20g)+곶감(1개) ② 청귤피(24g)+곶감(4개) ③ 오미자(20g) ④ 호박씨(남과인, 120g) 그대로나 달여서 4~5회 복용 9) 백혈병: ① 일일초(10g) ② 청대(6g) ③ 활나물(15g) 10) 버섯중독(식체): ① 감초(20g)+서리태(20g) ② 식품: 가지, 미역, 생강즙 11) 버짐(마른 버짐) ⇒ 건선 피부염 12) 벌집염 ⇒ 봉과직염 13) 변비: ① 볶은 결명자(두 숟가락)에 물 1ℓ를 붓고 반이 되게 달여 식사 후에 물 대신 마신다. ② 결명자(2)+행인(1) 가루(8g) ③ 볶은 흑축가루(3g)를 따뜻한 물에 타서 식사 전에 마신다. ④ 욱리인가루(5g) ⑤ 대황(5)+감초(1) 가루(3g)를 저녁식사 3시간 후 복용 ⑥ 맥문동(30g) ⑦ 포공영(45g) ⑧ 대황(4g)+불린 미역(10g)+감초(2g) 공복에 2~3회 복용 ⑨ 소통기산: 진피, 자소엽, 지각, 목통(각 4g) 14) 보기(補氣,익기;益氣)약재 (기허증): ① 인삼 ② 황기 ③ 창출 및 백출 ④ 산약 ⑤ 오미자 ⑥ 연자육 ⑦ 감초 ⑧ 사군자탕 ⑨ 보중익기탕 15) 보양(補陽)약재(양허증): ① 녹용 ② 음양곽 ③ 산수유 ④ 두충 ⑤ 토사자 ⑥ 육종용 ⑦ 백작약 ⑧ 복분자 ⑨ 팔미원 16) 보음(補陰)약재(음허증): ① 구기자 ② 사삼 ③ 천문동 ④ 맥문동 ⑤ 육미지황탕 17) 보혈(補血)약재(혈허증): ① 숙지황 ② 백하수오 ③ 당귀 ④ 백작약 ⑤ 용안육 ⑥ 사물탕 18) 복막염: ① 천남성+아주까리(피마자)를 짓찧어서 2~3시간 발바닥에 붙인다. ② 우렁이 속살을 짓찧어서 메밀가루에 반죽하여 2~3시간씩 배꼽에 붙인다. 19) 복수: ① 옥수수수염(15g)+차전자(15g) ② 율무(의이인)+쌀가루 죽 ③ 의이인+욱리인(각 15g) 가루 ④ 감수(법제, 2)+흑축(법제, 1) 가루(2g): 허약자와 임산부는 쓰지 않는다. ⑤ 백복령가루(4g) ⑥ 현축(10g)+적소두(150g) 20) 복어중독: ① 자소자(12g) 졸인 약 ② 노근(40g) ③ 미나리즙 21) 복통(배 아픔): ① 목향가루(4g): 체기로 헛배가 부르면서 아플 때 ② 회향가루(4g)를 소금물에 풀어 마신다: 일반적 복통, 담석증이나 신석증으로 배가 아플 때 ③ 백작약가루(4g)나 백작약(20g) ④ 황백피(10g): 급성위염, 위경련으로 인한 복통, 대장염, 적리 ⑤ 백작약, 감초(각 15g) ⑥ 황금, 백작약(각 8g)+감초 4g 22) 봉과직염(벌집염): ① 생지황 찧은 것에 목향가루를 뿌리고 생지황 찧은 것을 다시 덮어서 상처에 붙인다. ② 인동등(40g)+감초(20g)에 물과 술을 같은 양 붓고 달여 하루 2~3회 식사 후에 마신다. ③ 토목향(90g) 달인 물을 자주 바르면서 세 번 마신다. ④ 백렴가루를 술에 개어 하루 한 번씩 바른다. ⑤ 금은화+연교(각 20g) 달인 물을 두 번 공복에 마시면서 찌꺼기로 찜질한다. 23) 뾰루지(종처): ① 황백가루(7)+꿀(3)에 개어 바른다. ② 토복령(500g)+감초(25g)를 달여서 졸여 50㎖씩 두 번 나누어 마신다. ③ 포공영(20g)차 24) 뾰루지 올림(피하조직에 깊이 곪은 상처, 항종, 등창): ① 금은화(20g)+연교(50g) ② 백렴(2)+여로(1) 가루 내어 술에 개어 바르고 비닐막을 덮고 싸맨다. 25) 부고환결핵: ① 창이자+소회향(각 15g) 복용 ② 마치현 달여서 졸여 국소에 바른다. 26) 부자중독: ① 감초+서리태(소흑태, 각 20g) ② 녹두(200g)+감초(20g) 달여서 공복에 2~3번 비타민 C와 함께 먹는다. ③ 식초+술을 타서 마신다. 27) 부종(붓기): ① 차전자(15g)+옥수수수염(50g) ② 택사+백출(각 12g) ③ 의이인(50g)+욱리인(8g) ④ 정력자+대추살 알약(0.5g x 10알) ⑤ 목통(12g)+적소두(100g) 공복 ⑥ 노근(12g)+백출(12g) ⑦ 옥수수수염(10g)+지부자(4g)+감초(2g) ⑧ 상엽(10g)+옥수수수염(5g)+복분자(10g): 얼굴이 부을 때 좋다. ⑨ 보중익기탕: 인삼, 황기, 백출(각 12g)+당귀, 감초(각 8g)+진피, 승마, 시호(각 4g)에 물을 부고 1/3이 되게 달여 식간에 3회 복용: 얼굴이 부을 때 좋다. 28) 불감증: ① 삼지구엽초(음양곽, 15g) ② 오가피뿌리술 29) 불로회춘: ① 황정죽: 황정, 육종용(각 10g)+쌀 1컵으로 죽을 쑤어 아침식사 대신 장복 30) 불면증(잠 못 자기): ① 산조인(15g):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답답하면서 잠을 못 잘 때 ② 백자인 볶은 가루(4g): 심장신경증, 신경쇠약성 불면증 ③ 오미자가루(3g): 잘 흥분해서 잠을 못 잘 때 ④ 영지(12g): 신경쇠약 ⑤ 등심(4g): 심열로 가슴이 답답해서 오는 불면증 ⑥ 산조인, 백자인(각 12g) ⑦ 천마+천궁가루(2g) 혹은 천마, 천궁(각 8g) 달인 약 ⑧ 구기자(18g) ⑨ 강활(20g) ⑩ 상백피(18g) ⑪ 송엽(12g) ⑫ 치자(30g) ⑬ 갈근(100g) ⑭ 대추주 ⑮ 용안육탕: 산조인+용안육(각 10g)+백복신, 감초(각 5g)+대추 5개를 달여서 일주일 정도 잠자기 전에 복용 31) 불임증: ① 삼지구엽초(음양곽)+애엽을 오래 달여 졸여서 10g씩 하루 세 번 식사 전에 복용: 냉으로 인한 불임, 성기능이 약한 불임 ② 당귀(50g)+홍화(10g)를 술에 담궈 1달 후에 한 숟갈씩 식사 후에 복용: 월경 장애로 인한 불임 ③ 익모초+인진 각 1㎏에 물 7ℓ를 붓고 오래 달여서 졸여 15g씩 3번 식사 후에 복용: 냉증이 있는 불임 ④ 생지황(20g): 월경 장애, 대하로 인한 불임 ⑤ 익모초(3)+애엽(4)+당귀(2)+향부자(12) 꿀환(6g)을 하루 세 번 식사 후 복용: 영양장애, 내분비장애 치료, 혈액순환 개선 ⑥ 사상자 (3g) ⑦ 둥굴레차 ⑧ 대추차 32) 붉은 코 (딸기코, 주사, 주사비): ① 갈근(10g) + 감초 4g +치자 4g + 황금 4g 32-1) 붉은 피부; 살구씨가루 팩 33) 비듬: ① 상지 태운 잿물 ② 감국이나 야국(30g) 달인 물로 머리를 여러 번 감는다. ③ 석창포(10g) + 마른가지(50g) 달인 물로 마지막에 헹군다. ④ 한방차 : 진피차 (36g), 대추차 (60g), 사삼차 (30g), 행인차 (12g), 오미자차 (20g), 인동등차(40g) ⑤ 만형자산 : 만형자 (15g) + 방풍 6g + 상기생 6g + 백지 6g + 천초근 4g에 물 3리터를 붓고 반이 되게 달여서 자기 전에 머리를 한 달 정도 감는다. 34) 비만증 ⇒ 다이어트 35) 비염(코염): ① 창이자 가루를 95% 알콜에 12일 동안 담가서 가라앉힌 가루를 말려 꿀로 환을 만들어 먹는다. (0.5g x 2알씩 하루 세 번 2주 정도) : 만성 ② 석창포 + 조각자 가루 4g을 천에 싸서 콧구멍에 넣고 1시간 정도 누워 있는다. ③ 목단피 (6g)를 달여서 자기 전에 마신다(10일 정도) : 알레르기성 비염 ④ 현삼가루를 코 안에 뿌려준다. ⑤ 신이화 (18g) ⑥ 삼백초 (30g) ⑦ 현삼 (30g) ⑧ 한방차 : 감초차 (18g), 대추차 (50g), 길경차 (30g), 박하차 (30g) ⑨ 비염죽 : 불린 쌀 (20g) + 황기 (2스푼) + 백출 (1스푼) + 길경 (1스푼) + 감초 (1스푼) : 불린 쌀에 물 두 컵을 붓고 퍼질 때 까지 끓인 다음 약재를 넣고 저으면서 1분 정도 더 끓인다. (1~2달 정도장복) 36) 비위가 약할 때: ① 산약 4g + 오미자 2g + 황기 4g +백출 12g+ 인삼 4g에 물 1리터를 붓고 반이 되게 달여 하루 세 번 식후에 1달 정도 복용 37) 빈혈: ① 녹용 ② 당귀(2) + 천궁(1)가루 (20g)에 물 두 컵과 술 1 컵을 붓고 달여서 하루에 두 번 마신다. ③ 꿀(80~100g) 공복에 두세 번 먹는다. ④ 용아초(40g) + 대추(10개)를 달여서 식후에 두세 번 먹는다. ⑤ 백급 + 삼칠근 가루 (4g) ⑥ 하수오 가루(4g) ⑦ 아교 (갖풀) 15g ⑧ 녹각 300g에 물 3리터를 붓고 약한 불에 7시간 정도 푹 고아서 식혀 보관한다.(녹각교) 인삼 12g, 당귀 12g에 물 한 대접을 부어 반으로 되게 달여서 녹각교 1스푼을 타서 하루 두 번 복용한다. ⑨ 당귀 10g+ 구기자 5g+ 대추 2개에 물 1리터를 붓고 30~40 분간 약한 불로 달여서 차처럼 1개월 이상 마신다. ⑩ 만삼 40g ⑪ 백하수오 24g ⑫ 결명자차 (18g), 구기자차 (24g), 당귀차 (24g), 모과차 (30g), 삼백초차 (27g) |
출처 : 삶
글쓴이 : mouseskr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