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생/약초와 효소

[스크랩] 느릅나무

비오동 2010. 5. 22. 20:16

유근피(느릅나무)의 효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첨부이미지

"최고의 종창약이자 천연항생제 민간요법 약초로 유근피가 세간에 널리 알려진 것은 신약(神藥)의 저자 故 인산 김일훈 선생에 의해서다.

선생이 묘향산 깊은 산 속에서 기거할 때, 그 마을 사람들이 유별나게 건강하고 병없이 오래 사는 것을 보고 자세히 관찰한 결과 그들은 느릅나무 껍질과 그 뿌리의 껍질, 즉 유근피를 늘 먹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느릅나무 껍질을 벗겨 율무가루와 섞어 그것으로 떡도 만들어 먹고 옥수수 가루와 섞어서 국수도 눌러 먹는 것이다.

그들은 상처가 나도 일체 덧나거나 곪지 않았으며 난치병은 물론 잔병조차 앓는 일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유근피는 각종 종창(腫脹)과 비위(脾胃)질환에 매우 좋은 약이다.
비위의 모든 질환 중에서도 특히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소장·대장·직장궤양, 식도궤양 등 제반 궤양증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부종(浮腫)·수종(水腫)등 악성 종창과 등창, 후발종, 견창, 둔종, 음낭암 등 각종 암종(癌 腫 )의 영약( 靈藥)이다. 종창에 잘 듣는 약은 대개 암 치료약으로 쓸 수 있다.
최고의 종창약은 토산웅담과 사향, 산삼가루, 녹용가루 등이 이에 속하는데 그 다음으로 유근피를 꼽을 수 있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암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암 예방 효과를 갖는 좋은 약들이다.
악성 종창을 통증 없이 낫게 하는 것으로는 유근피가 가장 좋다.

유근피에는 강력한 진통제가 함유되어 있으며, 살충 효과까지 높은 반면 약의 일반적 속성이라 할 수 있는 중독성(中毒性)이 없어, 오랫동안 복용을 해도 무방하다. 유근피의 약성은 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利水道) 복수차는데 좋으며, 종창(腫脹)과 비장 및 다른 장기 종대(腫大)에 수술 후 상처가 아무는 것을 촉진하며, 종창에 고름 빼는데 좋다고 되어있다. 유근피는 비단 앞서 밝힌 각종 종창과 비위병, 궤양 외에 난치병 치료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약이다. 여러 가지 다른 질병에도 단방(單方) 혹은 혼합한 처방을 통해 쓸 수 있는 신비의 자연 생약재이다. 등창, 암종(癌腫)에의 활용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 즉 유근피의 약성과 그 적응증에 대해 설명했듯이 유근피는 각종 악성 종창과 장(腸)궤양, 기타 여러 질병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준다. 등창·후발종(後髮腫), 견창, 둔종, 음낭암 등 암종(癌腫)과 복창(腹脹), 순종(脣腫), 비종(脾腫), 부종(浮腫), 지종(肢腫) 등 제반 악종에 유근피를 날것으로 찧어서 붙이고, 유근피 말린 것의 가루를 상복(常服)하도록 한다 . 말린 유근피의 가루를 복용할 때 위기(胃氣)를 돕기 위해 가스명수에 유근피 가루 1숟갈씩 복용하되 부종의 경우 하루 10숟갈 이상씩 쓰는 것이 좋다. 부종은 이미 병뿌리가 깊이 내려 서둘러 약을 쓰지 않으면 약이 병의 진행을 따라 잡지 못하게 된다.

누렇게 붓는 것은 콩팥이 상해 들어가는 징조이므로 신장암으로 발전하기 전에 속히 치료를 해야 하는 것이다.
조속한 치료를 위해 다음 약을 겸한다.
집오리 1마리를 털과 똥만 제거한 다음, 머리·창자·발은 잘 씻어 넣고, 여기에 차전자(車前子)를 볶아서 분말한 것 1근, 금은화(金銀花) 반근을 함께 넣고 푹 달여 쓴다.` 위·십이지장궤양, 소장·직장·대장궤양, 식도궤양과 위하수, 소화불량 등
소화기 계통의 모든 질환에는 말린 유근피 가루 3되, 율무가루 2되의 비율로 섞어 반죽하여 시루떡이나 국수를 만들어 먹는다. 아무튼 유근피의 작용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바로 극강한 거악생신(去惡生新)이다. 병든 부분을 소멸시키고 새로운 조직을 배양해내는 작용이 강하다는 뜻이다. 궤양약 ― 유피(楡皮)밤떡 토종밤에 유근피나 유피를 가미하여 떡 또는 국수를 눌러 오래도록 식용하면 온갖 병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미리 예방해주기까지 한다. 영양이 풍부하므로 우선 영양실조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좋은 약이므로 질병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날밤을 살짝 으깨어 2∼3일간 잘 말린 뒤 껍질을 벗기고 분말한 다음 유피 또는 유근피 가루 1.3 Kg : 밤가루 3.7 Kg의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한다.
반죽시 유근피에서 거품 또는 진물이 많이 나오므로 물의 양을 적절히 조절 하면 맛좋은 건강식품 「유피밤떡」이 된다. 위궤양으로 오는 비위(脾胃)의 모든 병과 각종 위장병, 폐결핵, 폐병, 신장염, 대장염, 요도염, 방광염,변비, 어혈, 신경통, 요통, 관절염, 고혈압, 저혈압, 독맥(督脈)경화 등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내며, 중풍, 암을 비롯한 각종 난치병과 노쇠예방에도 크게 기여한다 *

느릅나무 : 교목(喬木 : 줄기가 굳고 굵으며 높이 자라는 나무)의 한 종류. 키가 크게 자라며 꽃이 피면 담자색(淡紫色)을 띤다. 꽃이 지면 열매를 맺는다. 나무껍질은 갈색이며 납작하고 평평하며 찢어진 흔적같은 결이 있어 쉽게 벗겨낼 수 있다.느릅나무는 옛 중국과 한국에서 약으로 써왔다.

 

유근피의 효능

유근피(느릅나무 뿌리 껍질)는 각종 암처방과 종창·비위질환에 중요한 약재로 쓰인다. 특히 여자의 자궁과 유방질환 치료에는 주장약으로 쓰이며, 평소 음주 후에 속이 쓰리거나 염증을 잘 앓거나 속이 좋지 않을 경우 유근피를 은은한 불에 오래 달여 죽염을 적당히 타 먹으면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 부스럼과 종기가 난 곳에 잘 듣습니다.

◆ 위하수,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 효과가 있습니다.

◆ 배가 사르르 아프고 소화가 안될 때 좋습니다.

◆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 통하게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축농증과 중이염에 잘 듣습니다.

◆ 종기, 종창과 곪은 상처에 효과가 있습니다.

◆ 여성의 피부를 곱게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 자궁과 유방 질환에 잘 듣습니다.

동의보감에서

느릅나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 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을 낮게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한 위궤양, 위염, 위하수 등 각종 위장 질환에 잘 듣는다고 합니다.

 

만드는 방법
유근피 20g에다가 두 대접의 물을 넣고 30분 정도 달여 한 대접이 되면 그 물을   하루 분량으로 정해 1일 3회씩 드세요..

 

1. 유근피를 떡으로

잘 말린 유근피를 가루 내어 율무 가루와 섞어 반죽한 다음 떡을 찝니다.

유근피와 율무를 3:1의 비율로 하고 물은 조금만 넣고 반죽합니다.

유근피 가루는 거품이 많이 일어 물이 많으면 너무 질어 반죽하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유근피 떡은 위하수, 위궤양, 소화불량에 도움을 준답니다.

 

2. 유근피 찜질법

자궁이나 직장의 종창, 치질 등에 쓴다.

우선 유근피를 물에 불린 다음 짖찧어 환부에 붙인 후 오래묵은 기와장을 불에 달군 다음 유근피 위에 대고 찜질을 합니다.

하루 두 번씩 유근피를 갈아 붙이고 찜질을 계속하면 신열과 온몸의 통증이 수그러들고 증상이 점차로 호전된다고 합니다.

 

3. 유죽액

유죽액이란 유근피와 죽염을 섞어 액으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유근피에 3배의 물을 넣고 약한 불에 오래(24시간 정도) 끓인 다음 찌꺼기는 버리고 물만 따라 둡니다.

이물에 죽염을(유근피액2:죽염1) 타서 다시 은은한 불로 1-2시간 졸입니다.

이 유죽액은 비 위 신장의 각종 질병에 복용 하거나 관장 주사기를 이용하여 관장하면 좋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느릅나무의 효능
◆ 부스럼과 종기가 난 곳에 잘 듣습니다.
◆ 위하수,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 효과가 있습니다.
◆ 배가 사르르 아프고 소화가 안될 때 좋습니다.
◆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 통하게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축농증과 중이염에 잘 듣습니다.
◆ 종기, 종창과 곪은 상처에 효과가 있습니다.
◆ 여성의 피부를 곱게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 자궁과 유방 질환에 잘 듣습니다.

그리고, 복용법은
▶유근피(느릅나무) 액기스는 2-3팩을 하루 분으로 1회에 1팩씩 식후에 마십니다.
▶유근피(느릅나무) 환은 하루 두 세 번 1회에 25-35알씩 식후에 따듯한 물과 함께 먹습니다

일명 유근피라고 하는 느릅나무의 뿌리 껍질을 달여서 먹으면 위암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껍질을 물에 담가 두면 끈끈한 진액이 많이 나오는데 이 끈끈한 점액질 성분이 갖가지 종기와 종창을 치료하는 약이 된다.
한방이나 민간에서 느릅나무 뿌리껍질은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 갖가지 궤양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어 많이 써왔으며 위암이나 직장암 치료에도 쓰이는데 특히 위암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열매와 잔가지를 위암치료에 쓰기도 하고, 느릅나무뿌리껍질을 달여서 먹고 암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었다는 사례가 더러 있다.
위암에는 꾸지뽕나무와 느릅나무 뿌리껍질, 화살나무를 함께 달여서 그 물을 마시고, 직장암이나 자궁암에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달인 물로 자주 관장을 하면 효과적이다.

약재에 대하여

느릅나무는 아름답고 깔끔한 인상을 주는 나무다. 느티나무와 닮았으며 산 속 물가나 계곡 근처에서 자란다.

그 껍질을 유피, 뿌리껍질을 유근피라고 한다.

느릅나무는 그 껍질이 상당히 질겨서 옛날에는 이 질긴 껍질을 꼬아서 밧줄이나 옷을 만들기도 했다.

느릅나무에는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참느릅나무와 둥근 참느릅나무, 좀참느릅나무는 열매가 9~10월에 익고, 당느릅나무, 혹느릅나무, 떡느릅나무 등은 4~5월에 익는다. 이들 나무는 열매 익는 시기와 껍질의 생김새만 다를 뿐 잎 모양이나 약으로의 쓰임새는 같다.


약성 및 활용법

느릅나무의 껍질을 벗겨서 입으로 씹어보면 끈적끈적한 점액이 많이 나오는데 이 점액이 갖가지 종기나 종창을 치료하는 좋은 약이 된다. 약으로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쓰는데, 이른 본에 뿌리껍질을 벗겨 내어 그늘에서 말려서 쓴다. 말리면 대개 속껍질이 누렇게 된다.

느름나무는 옛날부터 이뇨약이나 종기 치료약으로 써 왔다. 배고플 적에 껍질은 벗겨 먹고 잎은 쪄서 먹었으며 열매로는 술이나 장을 담그기도 했다.

느릅나무는 천지의 음기를 받아 자라는 나무인 까닭에 뿌리껍질을 채취하거나 말릴 때 햇볕을 보면 약효가 반 이하로 떨어진다. 그러므로 해가 뜨기 전인 새벽에 뿌리껍질을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두고 약으로 써야 한다.

또 달이는 것보다 날로 쓴는 것이 효과가 훨씬 더 세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느릅나무는 고름을 빨아내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이 매우 강하므로 종기나 종창에 신기한 효과가 있는 약나무다. 부스럼이나 종기가 난 데에 송진과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같은 양씩 넣고 물이 나도록 짓찧어 붙이면 놀라울 만큼 잘 낫는다.

▶느릅나무 뿌리껍질은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소장궤양, 대장궤양 등 갖가지 궤양에 뛰어난 효과가 있고 부종이나 수종에도 효과가 크다. 위암이나 직장암 치료에도 쓰며 오래 먹어도 부작용이 없다.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궤양에는 느릅나무 뿌리껍질 가루와 율무가루를 3:2의 비율로 섞어서 반죽하여 시루떡이나 국수로 만들어 먹으면 맛도 좋고 치료 효과도 좋다.

▶위암에는 꾸지뽕나무와 느릅나무 뿌리껍질, 화살나무를 함께 달여서 그 물을 마시고 직장암이나 자궁암에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달인 물로 자주 관장을 한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느릅나무 뿌리껍질과 옥수수 수염을 각각 40g씩 섞은 다음 물을 붓고 달여서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그 물을 마신다. 부종이 있을 때는 잘게 썬 느릅나무 뿌리 속껍질 40g에 물 1리터쯤을 붓고 달여서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그 물과 밀가루 떡을 빈 속에 먹는다. 이는 하루에 먹을 양이다.

▶축농증이나 비염에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진하게 달인 물과 죽염을 3:1의 비율로 섞은 다음 그 물을 탈지면에 묻혀 ***기 전에 콧 속에 넣는다. 처음에는 따갑고 아프지만 1~2개월 계속하면 대개 낫는다.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물에 담가 두면 끈적끈적한 진이 많이 생기는데 그 진을 먹거나 피부에 바른다. 죽염을 섞어 피부에 바르면 각종 피부질환을 치료하고 피부를 아름답고 매끄럽게 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느릅나무 잎도 약으로 쓴다. 봄철에 돋아나는 어린순으로 국을 끓여 먹으면 불면증이 사라진다. 느릅나무 잎은 부작용이 없는 천연 수면제이다.

출처 : 내 마음이 곱다면.....
글쓴이 : 나마스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