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가미절채보폐탕

비오동 2010. 5. 20. 17:22

◎가미철제보폐탕:
약재 신약141  [신약281] 기타
별갑[초] 4근 1근 1근
건칠피 3근 3근 3근
백개자[초]  2근 2근 2근
적하수오 1근    
백하수오 1근 1근 1근
숙지황[상품] 1근 1근 1근
산약 1근 1근 1근
지율분 0.5근 0.5근 0.5근
상백피 0.5근 0.5근 0.5근
맥문동[거심] 0.5근 0.5근 0.5근
신곡[초] 0.5근 0.5근 0.5근
맥아[초] 0.5근 0.5근 0.5근
인삼 0.5근 0.5근 0.5근
백미 0.5근 0.5근 0.5근
하초동충 0.5근 0.5근 0.5근
행인[거심거피첨초] 0.5근 0.5근 0.5근
상녹용 0.5근 0.5근 0.5근(빼도 무방)
산수유 0.5근 0.5근 0.5근
오미자 0.5근 0.5근 0.5근
도인[거피초] 3냥 3냥 3냥
백복령 5냥    
택사[상품] 5냥 5냥 5냥
목단 5냥 5냥 5냥
자오공[생강법제] 5냥 5냥 5냥
생죽 3근 대두1되 대두1되
왕대추 1되 대두1되 대두1되
두 가지 내용을 살펴보면 별갑, 생죽, 하수오, 백복령에서 여러 가지의 차이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인적으로 선택하려면 나는 [신약141]에 기록된 내용을 권하고 싶다. 그 이유는 가미절채보폐탕은 절채보폐탕에 육미지황탕을 가미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하수오의 경우 적하수오, 백하수오 두 가지 모두를 함께 쓰는 것이 좋다. 인삼은 반드시 6년근 이상을 써야 한다. (인산의 생전 말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