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550만원으로 흙집짓기?
흙집, 일주일 만에 뚝딱 지어볼까 | |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는 길잡이책 나와 3평집 건축비 550만원에 “우리도 새들처럼” | |
![]() |
![]() ![]() |
집장수가 지은 집에서 자녀를 낳고 기르는 우리는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 뻐꾸기와 뭐가 다를까. 〈일주일 만에 흙집짓기〉(고제순 지음, 도솔오두막 펴냄)는 새와 벌 그리고 거미처럼 우리도 우리 자신의 집을 지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것도 일주일 만에. 건축재료는 돌, 흙 그리고 나무. 돌은 주추, 구들, 흙은 벽돌로 쌓는 벽체, 나무는 천장과 지붕에 쓰인다. 자연친화적이어서 건강에 좋을뿐더러 습기와 물을 멀리하면 집의 수명이 백년은 간다. 수맥이 없는 곳에 터를 닦아 땅 위에 평면도를 그리는 게 첫일. (이 책에서는 세평 원형의 집이다.) 자연석으로 60㎝ 넓이로 90㎝ 가량 기초돌을 놓는다. 이때 바람 방향을 고려하여 아궁이 문틀을 단다. 아궁이와 개자리를 만들고 바닥에는 황토와 숯을 깐다. 이때 공병 400여개를 골고루 깐 뒤 돌가루로 마감한다. 공병과 돌가루는 축열을 위한 것. 20㎝ 폭으로 적벽돌을 사용해 고래뚝을 쌓은 뒤 구들장을 깐다. 불길이 직접 닿은 곳은 두께 15㎝ 내외의 튼튼한 이맛돌을 쓴다. 돌과 돌 사이는 작은 돌과 황토주먹밥으로 메우고 부토를 덧깐다. 다음은 벽돌쌓기. 황토적벽돌을 가로세로 번갈아 쌓는데, 이때 벽돌과 벽돌 사이의 조적용 모르타르는 황토와 모래를 1:1로 섞는다. 문틀과 창틀을 짜넣고, 콘센트 자리를 보아 전선관을 처리한다. 수직 맞추기는 필수. 흙벽 상단에 도리목을 깔아 꺾쇠로 고정하고 천장 꼭대기 서까래 고정목인 찰주를 설치한다. (이 단계에서는 비계를 설치해야 한다.) 지름 4인치의 소나무 또는 낙엽송으로 서까래를 벽체기중 50~60㎝ 간격으로 찰주에 건다. 도리목, 찰주와의 접합부는 스크루볼트로 고정시킨다. 서까래 끝에 평고대를 박고 얇은 송판으로 천장을 마감한다. 부직포를 깔고 덧서까래를 설치한 뒤 숯을 10~20㎝ 두께로 깔고 그 위에 흙을 덮는다. 덧서까래 위에 열반사 단열재와 합판을 깔고 처마는 플래싱으로 마감한다. 다음 방수시트를 깔고 너와를 얹으면 집 뚝딱 완성. 물론 외부벽체 미장 마감이나, 굴뚝 설치, 전선 깔기, 도배는 빼놓을 수 없다. 이 책은 공정별로 사진을 곁들여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했다. 이렇게 집을 지어 사용하는 나무선씨는 “자른 통나무를 벽체로 쓰는 공법이 나중에 균열이 발생하는 데 비해 이 공법은 흙벽돌을 사용해 그런 단점이 없다”며 “건축비가 550만원으로 저렴하고 하루 한번 불을 때면 돼 난방비도 적게 든다”고 말했다. 임종업 선임기자 blitz@hani.co.kr
+++++++++++++++++++++++++++++++++++++++++++++++++++++++++++++++++++++++++
어느 카페에서 본 자료입니다.
흙집을 내손으로 깔삼하고(?) 멋지게 지어 볼 수 있다는 책자를 소개한 한겨례신문의 내용을 어느
회원님께서 올리신듯 합니다.
|
"흙집을 지어보면 안다. 집 장수들이 얼마나 폭리를 취하는지..."라는 부분이 눈에 거슬러 -.-;;
집짓는 일을 업으로 삼는 머로로서는 이런 글들을 볼때마다 마음이 참 거시기 합니다.
평에 몇 천만원이나 간다는 고급 아파트라면 모르겠지만 흙집이니 나무집이니하는 전원주택을
짓는 업자가 과연 얼마만큼의 폭리를 취하는지....만약 그렇게 폭리를 취하는 업자가 있다면 쫓아가서
큰절이라도 넙죽 드리고 "제자 삼아 달라"하겠습니다. ^^;;
무슨 수를 써서 그렇게 큰 폭리를 취하는지는 모르르겠습니다만 대분분의 빌더(적어도 머로가아는)
들은 집떠나 몇 달씩 아주 쌩 ~ 고생을 하며 일에 빠져 사는게 일상입니다.
하루에도 몇번씩 힘이 들어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들이 치밀어 오르고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서 느끼는
온갖 부조화에 고단한 일상이 자꾸만 무의미하게 퇴색되어가는것 같아 심한 자괴감에 무기력해지는
자신을 보며 "내가 왜 이 짓은 하는가"하고 수없이 회의를 느끼기도 합니다.때로 빌더들은 쉬는 날에도
집엘 가지 못합니다. 대부분 집과는 먼 현장이다보니 한번 왔다 갔다하는데
기름값이며 경비가 너무 많이 들고 몸이 너무 피곤한 까닭입니다.
빌더들의 노임이 하루 2,30만원이나 된다면 모를까 대부분의 경력빌더들도 10만원에서 15만원이
거의 다입니다. 머로같은 팀장들도 20만원 이상은 챙기기 힘듭니다. 그런데 한번 움직이면 몇일 일당이
다 길바닥으로 깔리고 없어집니다. 일이 계속해서 일년내내 안정적으로 있는것도 아니다 보니 이 현장
저 현장 움직이는데 많은 경비가 깨집니다. 한달 꼬박 일 한다면 모를까 많이해서 25일을 채운다면
집에 한 200만원의 생활비를 보태 줄수는 있을것입니다. 토끼같은 아들 딸들이 눈에 선하고
떨어져 지내 늘 미안한 안 사람에게 명목이 없는 터무니 없는 액수입니다. 그래서 나이 마흔이 넘고도
혼자 지내는 총각들도 많습니다. 집짓는게 좋고 나무 만지는게 좋고..자기도 언젠가는 한적한 시골에
자기손으로 멋진 통나무집을 짓고 여유롭게 살 수 있으리라는 희망으로 살아가는 대부분의
빌더들에게 "폭리를 취하는" 집 장수들은 그저 남의 나라 얘기로만 들릴 뿐입니다.
예전의 집장수들은 그만큼의 폭리로 한꺼번에 수많은 돈을 벌었다는 얘길 들었습니다만 적어도
머로가 아는 머로 주변의 집쟁이들 (집을 지어 파는 사람이 아닌 집짓기를 업으로 삼는 목수들)은
늘 주머니에 톱밥이나 채우고 다니면 다녔지 돈이라고는.... 참 한심하다는 생각도 들때가 있지만
어쩌겠습니까? 톱질이 좋고 망치질이 좋아 늘 나무와 뒹구는게 유일한 낙인데...
통나무집도 한 평당 500만원씩 받고 아니면 고급화 시켜 몇천만원 했으면 빌더들도 여유있게
살 수 있겠지만 현실이 어디 그렇습니까? 날로 자재 값은 오르고 인건비 부담은 늘어가고
비슷한 수준과 메뉴얼로 지어지는 집도 10년전이나 지금이나 거기서 거기의 가격으로 지어지는데...
오히려 한 10년전쯤 400만원에 지어졌던 집들이 지금은 300 몇십만원에 지어지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이윤을 남기자면 못하겠다고 해야하지만 톱질이 그리워 톱질 하는 맛에 집 짓는 머로같은 팀장들도
많습니다. ^^;; 회원이 몇 천명에 일년내내 현장을 운영하는 다음의 몇몇 동호회 카페들을 보면
마치 집짓기가 무슨 아이들 숙제 해결하듯 쉽게 쉽게 이뤄지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합니다.
외관이야 지어 놓고 보면 다들 그럴듯해보이지만 동호회 회원들이 혹은 갓 톱질을 배운 초보들이
지은 통나무집이 과연 그만큼의 가치가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위 그림의 흙집을 550만원에 짓는다!!!??? 가능합니다. 충분히... 아니 그이하로도 지을 수 있습니다.
적어도 집을 지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거나 아니면 집짓는 현장에서 몇번의 비슷한 경험이 있다면...
하지만 일반인들이 저 책의 내용대로 짓는다면 얼마든지 지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입니다.
집짓기가 쉬워보이고 별것 아닌것 처럼 보인다면 그 사람은 "폭리를 취하는 집 장수"로 성공할 가능성
이 다분히 있어보입니다. 톱질 한번에도,망치질 한번에도 수없이 고민하고 밤잠 설쳐가며 이리 저리
더 나은 시공을 고민하는 대부분의 프로 빌더들에겐 집 짓기는 언제나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하루 하루 완성되어가는 집을 보면서, 마치 자기 집이 완성되어가는 양 기뻐하고 뿌듯해하며
힘든 하루 하루, 고단한 하루 하루를 의미있는 보람된 날들로 채워 가는게 우리네 빌더들의 행복입니다.
폭리를 취 할 수 있다면,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면 그런 집짓기도 나름 좋겠습니다만 지금처럼 거의
모든 정보가 공개되고 수많은 빌더들이 무한 경쟁을 하며 한번이라도 더 톱질을 하고파하는 작금의
현실에선 그저 술 자리의 우스개 소리일 뿐입니다.
그림의 집을 550만원으로 지어 보시겠습니까? 먹고 사는것에 구애됨없고 하루종일 남는게 시간이고
얼마든지 집지을때 무료로 손을 보탤 수 있는 사람들이 늘 한 너,댓명은 되신다면 시작해 보십시요.
한달이든 두달이든 얼마든지 그림의 집을 지을 수 있을것입니다. 더 멋지게 지을 수 도 있을것입니다.
저마다 타고난 감각이 남다르고 뛰어난게 우리나라 사람이다 보니 충분히 가능성이 있을것입니다.
하지만 찬찬히 현실을 둘러보십시요. 이것 저것 한 두가지가 걸리는게 아닐것입니다.
세평짜리 흙집짓는데도 무수한 의견들이 오고가며 짓다가 중간에 허물어버리고 싶을때도 있을것입니다.
책에 자상하게 쒸여진대로 무리없이 깔끔하게 지어 볼수 있다면 이미 그사람은 목수이거나 집짓는걸
업으로 삼아도 될만큼의 능력을 타고난 사람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나 저나 머로는 톱질이 무척 그립습니다.추석이 끝나고는 톱질에 정신이 혼미해질 지경까지
가길 바라면서....
2006년 햇살이 님의 입술처럼 익어가는 가을에 ... 머로